전경사진추가.jpg
 < Little Seclusion > Installation View
찰나에 조우하는 너 - 2023년 여름으로 향하는 진민욱에게 보내는 글  

백필균

모든 가치는 누군가 걸음을 멈추는 새벽녘 죽음에서 피어난다. 좋음과 나쁨은 삶과 죽음을 전제로 하고 일생은 그 가치를 묻는 유한한 시간이다. 수많은 물음에서 앎(知)은 앎이 아니고 도(道)는 도가 아니다. 살아있는 시간은 살아야할 이유를 알려주지 않기에, 존재하는 모두는 자신을 모른 채 죽음에 이른다. 태초의 분리 이후 끊임없이 팽창하는 우주에서 삶은 흩어지는 파편에 머무는 찰나이다. 이야기는 우주의 조각이 엇갈리거나 마주하는 시간이고, 이야기하는 인간은 조각과 조각을 잇는 조각이다. 이야기하는 조각은 만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순행하거나 역행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모은다. 모두가 이합집산하는 세상에서 진민욱은 회화로 이야기를 전한다. 그에게 회화는 이야기를 향유하고 소유하는 방법이다. 진민욱은 공자가 편찬한 고대 문집 시경에 소개된 시 모음에서 소재 몇 가지에 착안해 동식물 이미지를 그림으로 옮긴다. 지난 미술학 학제 안에서 전통 회화 재료와 매체, 미술사와 이론을 학습해온 그가 중국 역사에 가장 오래된 시집을 살피며 회화로 옮길 이미지를 탐색하는 작업은 선대 예술인의 활동과 닮아 보이지만 작자의 자전적 문맥을 형성한다. 화훼(花卉), 영모(翎毛), 초충(草蟲) 등 화조화 계보에서 진민욱의 회화에 등장하는 소재 다수는 상징성을 지닌다. 현대사회는 전통사회의 문화적 상징 다수를 잃어버렸지만 화창한 봄날의 자연 이미지는 그 자체로 아름다움과 번영의 기호로 여전히 작용하고, 동식물 여럿의 평화로운 관계적 이미지는 자연 본래의 질서에 순응하는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동식물 이미지 여럿이 교차하는 진민욱의 운율에서 문득 고독함이 스민다. 어질러진 공간에서 무언가가 고개를 든다. 진민욱이 '동산(東山)'이라 제목이 알려진 시에서 꾀꼬리를 차용할 때는 시화일치 사상에 따라 원본의 주제와 심상을 표현하는 동시에 이를 보여주는 작자 자신을 투영한다. 시 '동산'에서 꾀꼬리는 전쟁터로 떠난 약혼자 혹은 멀리서 오랫동안 떠나있던 친정을 그리워하는 누군가의 이미지라면, 진민욱의 회화에서 꾀꼬리는 주변 인물들의 장례를 겪으며 자신과 주변을 되돌아보는 관찰자이자, 외조모와 살던 옛 터의 이전 풍경과 유년 시절을 그리워하는 소녀이다. 그 작은 새에 '보이는' 사물과 '보여주는' 주체의 이원성이 내재되어 있다. 단일한 기호로 모습을 드러내는 무언가는 조합되고 통일되어 있다.1) 진민욱이 가까운 사람과 사별한 이후 작업한 가시나무 꾀꼬리에서는 토끼 올무 셋이 '보여주는 주체'의 또 다른 사물로서 등장한다. 연약한 나뭇가지를 종이테이프로 이어 붙인 그것은 사냥을 위한 도구라기보다 옆에 쌓인 돌탑처럼 의례 혹은 놀이를 위한 어떤 것에 가까워보인다. 불완전한 준비는 죄 없는 얼굴이 잡히는 시간을 하염없이 지연한다. 그림을 보는 누군가가 이미 회화라는 큰 올무에 자신이 걸렸음을 깨닫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흐른다. 화판을 벽과 벽 구석 혹은 허공에 좌우로 둥글게 설치하는 이전 전시에 이어 사각 화판 상단 우편 모서리에 기역자 화판 여럿을 옆으로 덧대어 설치하는 전시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병풍 이미지를 연상하여 그림 속 그림 설정과 마찬가지로 실제와 환영 사이 작자가 위치한 경계선을 드러낸다. 그림과 그림은 거울과 거울이 마주 보며 무한히 반사하는 미장아빔(mise en abyme)으로 누군가의 심연과 이어진 문을 여는 오래된 주문이다. 진민욱은 문을 열었고, 여름 신록이 흔들거리는 공간에 심연의 숨소리가 울린다.

오뉴월의 숨, 여름바람을 껴안은 진민욱은 전시 제목에서 자기 회화를 소은(小隱)에 비유한다.2) 그는 작은 것들을 위한 시로서의 회화를 상상한다. 남들이 모르는 '그'를 마주하기 위해,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그'를 애도하기 위해 진민욱은 일종의 기도실 같은 그곳을 찾아 머무른다. 고요한 새벽녘에 열리는 공간, 꿩과 사슴, 나비와 벌, 꽃과 나무 등 다양한 생물종이 등장하는 진민욱의 회화에서 허락되는 소리는 작은 새의 지저귐만이 아니다. 꾀꼬리는 여름새이다. 상춘의 잠에서 깨어나는 움직임은 화면 가운데 나뭇가지에 솜털을 남기고 화폭 뒤에 날개 한쪽을 펼친다. 달마가 신발 한 짝을 남기고 서방으로 떠나듯이 작은 새는 어느새 날아오른다. 그렇게 진민욱도 자기에게 주어진 시간, 우주에 움직이는 조각을 떠나 또 다른 조각 앞에 도달한다. 멈춰 선 사물과 움직이는 이미지, 그리고 연결을 위한 시간. 심연 한 가운데 작은 은신처에서 담담한 표정으로. 마침내. 





(1) (조르조 아감벤, 『행간』, 윤병언 역, 자음과모음, 2015, 273쪽 참조)
(2) (중국 당나라 중기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는 은일하는 삶에 대하여 유능한 인재가 세상을 피해 산림에 숨어 살면 소은(小隱), 사람이 모이는 혼잡한 곳에 담담하게 살면 중은(中隱), 관직에 있되 세상 어려움에 휘둘리지 않고 여유롭게 살면 대은(大隱)이라 불렀다. 진민욱이 백거이의 삼은(三隱)에서 작은 은신처에 주목한 연유는 스스로 세속과 거리를 두며 작업으로 자기수양을 답습하는 한편, 작업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사람과 거리를 두는 평소 태도를 시사하기 위함이다.)



You, Who Make Encounters in Fleeting Moments
- A letter to JIN Minwook ahead of summer 2023

PAIK Philgyun

Every value blossoms from death at dawn that makes someone stop taking steps. Good and bad presuppose life and death, and life consists of a finite amount of time to question its value. In these many questions, knowing (知) is not knowledge; tao (道) is not the way. Since living in time tells no reason to live, all that exists dies without knowing itself. In a universe that has been ever-expanding since the separation of the beginning of time, life is a mere fleeting moment of scattered fragments.

A story is a time in which pieces of the universe intersect or face each other, and a person who tells the story is a piece that connects different fragments. The fragments telling stories follow the direction in which all things flow, either traversing or retrospectively, collecting new stories. In a world where everyone gathers and disperses, JIN Minwook tells stories through her paintings. For her, painting is a way of appreciating and owning stories. Taking certain inspiration from a collection of poems in the Classic of Poetry, an ancient text compiled by Confucius, JIN translates images of flora and fauna into paintings. Having studied traditional painting materials, media, art history, and theory within the discipline of art history, she pores over the oldest book of poetry in Chinese history, searching for images to translate into paintings. This seems to resemble the activities of artists of previous generations, but it forms an autobiographical context for the artist. In the genealogy of the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paintings of flowers, birds and animals, and plants and insects, many of the subjects in JIN’s paintings have symbolism. Although the modern world has lost many of the cultural symbols of traditional societies, the image of nature on a sunny spring day still serves as a symbol of beauty and prosperity in its own right. Images of peaceful relationships between flora and fauna evoke the idea of conforming to nature’s innate order.

As JIN Minwook’s rhymes intersect with images of flora and fauna, a sense of loneliness suddenly emerges. There, something pokes its head out of the clutter. When the artist borrows the figure of oriole from a poem known as “the hills of the east (東山),” she expresses the theme and image of the original poem according to the idea of synchronicity between poems and paintings. At the same time, she projects herself as an author who presents them. In the poem, the oriole shows an image of someone longing for a fiancé who has gone off to war or her maiden home after being away for a long time. In JIN’s painting, the oriole is an observer who reflects on herself and her surroundings as she goes through the funerals of the people around her, and it is a girl who longs for her childhood and the landscape of the old house where she lived with her grandmother. Inherent in the little bird is the duality of the “seen” object and the “showing” subject. What appears as a singular symbol is combined and unified.[1]
 
In the painting of a yellow oriole, painted after the artist’s bereavement with someone close to her, three rabbit traps appear as another object of this “showing subject.” With fragile branches held together with paper tape, they look more like something for ritual or play than hunting tools, just like the pile of stones next to them. Incomplete preparation inexorably delays the time for an innocent face to be captured. It takes a long time before someone looking at the painting realizes that they have already been caught in the greater trap of painting. In the previous exhibition, the artist mounted painting boards in a circle on the wall, in the corner of the wall, or in empty space. And in the current exhibitio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square-shaped painting board is flanked by a number of L-shaped painting boards. These compositions are unusual but reminiscent of an image of folding screens, revealing the borderline where the artist sits between the real and the illusory, much like the setting in her painting. Her paintings generate a mise en abyme where mirrors face each other and reflect infinitely, and it is an old spell that opens a door to someone’s abyss. JIN Minwook opened the door, and there are echoes of the abyss’ breath throughout the space where the fresh verdure sways.
 
Embracing the breath of May and the summer breeze, she compares her paintings to a “Lesser Hermit (小隱)” in the title of the exhibition.[2] She envisions painting as poetry for small things. In order to face the very “person” that no one else knows, to mourn “him” that no one remembers, JIN Minwook finds and stays in a place that resembles a prayer room. The chirping of small birds isn’t the only sound allowed in JIN’s paintings, which feature spaces that open at dawn, pheasants and deer, butterflies and bees, flowers and trees, and a variety of other creatures.
 
The oriole is a summer bird. The awakening movement of spring leaves fluff on the branches in the center of the screen, spreading one of the wings behind the painting. Just as Bodhidharma leaves one shoe behind and heads west, the little bird takes flight. In such a way, JIN Minwook leaves time given to her and fragments moving in space, arriving at another fragment of time. It is a time for still objects, moving images, and connections. She stands in a small lair in the center of the abyss, her expression nonchalant. At last.
 

 

 
   
[1] See Giorgio Agamben’s Stanzas. Trans. Ronald L. Martinez. Minnesota UP, 1992
[2] (Bai Juyi, a poet from the Tang Dynasty in China, wrote about a life of quiet hermitage. If a talented person hid from the world and lived in mountains and forests, he was called a “lesser hermit (小隱); if he lived with dignity in a crowded place, he was called a “hermit in between (中隱)”; and if he held an official position lived a leisurely life, unencumbered by the troubles of the world, he was called a “hermit in town (大隱).” JIN Minwook’s attention to the small hiding place in Bai Juyi’s “Three Hermits (三隱)” is meant to suggest her general attitude of distancing herself from the world and practicing self-discipline through her work while also distancing herself from people in the process of immersing herself in her work.)